본문 바로가기
Information Technology

KISA,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와 ‘2017년 7대 사이버 공격 전망’

by JUNE LAB 2017. 1. 5.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KISA,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와 

'2017년 7대 사이버 공격 전망’ 발표

- 산업전반의 표적공격 확대, 랜섬웨어 대량 유포, 사물인터넷 기기의 위협 확대 등 전망 -



한국인터넷진흥원(KISA, 원장 백기승)은 사이버 위협정보 공유 및 침해사고 공동 대응을 위해 운영 중인‘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’*에 참여하는 국내외 보안업체와 함께 2016년 한 해 발생한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내년 사이버공격 위협을 전망하는 ‘2017년 7대 사이버 공격 전망’을 5일 발표했다.

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안랩, 이스트소프트, 잉카인터넷, 하우리, NSHC, 빛스캔 등 국내 보안업체가 2014년 12월부터 구성돼 운영 중이다.
 
2017년 7대 사이버 공격 전망으로는 ▲산업전반으로 번지는 한국 맞춤형 공격, ▲자산관리 등 공용 소프트웨어를 통한 표적 공격, ▲한국어 지원 등 다양한 형태의 랜섬웨어 대량 유포, ▲사회기반시설 대상 사이버 테러 발생, ▲온라인 광고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멀버타이징 공격* 등 대규모 악성코드 감염기법의 지능화, ▲악성앱 등 모바일 금융 서비스에 대한 위협 증가, ▲좀비화된 사물인터넷(IoT) 기기의 무기화 등이다.
 
이번 전망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날로 고도화·정교화 되는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한 정보 공유 및 공동대응 필요성에 따라 국내외 ‘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'에 참여하는 보안업체와 공동분석을 통해 선정됐다.
 
한국인터넷진흥원 백기승 원장은 “우리 사회 전방위로 확산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다각적 협력 및 대응을 위해 국내외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더욱 긴밀한 정보공유와 대응공조를 유지하겠다”고 밝혔다.


댓글